반응형
스터디 나오시면 자세히 배울수 있다는 말을 하려고 사진찍을때 기본 3가지만 알면 DSLR도 문제없다 를 썼는데
자세한 내용이 없어 오해의 소지도 있고 마치 이렇게 찍어야 한다로 인식될수 있어 이렇게 씁니다.
지금 남산으로 번개출사 나가야하는데 쓰고 있음.. ㅡㅡ;;

우선 셔터스피드라는것은 셔터가 열리는 시간입니다.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셔터스피드가 느릴수록 빛을 많이 받아들이고, 셔터스피드가 빠를수록 빛을 적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다른 의미로 생각해보면 빠른 물체를 선명하게 찍으려면 셔터스피드가 빨라야하고
고정된 물체를 찍을때는 셔터스피드가 어느정도 늦어도 가능하다는것입니다.

셔터스피드의 단계를 살펴보면

1초, 1/2초, 1/4초, 1/8초 이렇게 빨라지면서 1/15, 1/30, 1/60, 1/125, 1/250, 1/500, 1/1000, 1/2000, 1/4000....

이렇게 단계적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눈치가 빠른분이라면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셔터스피드가 두배씩 늘어가는데 왜 1/8에서 1/16으로 가지 않고 1/15로 가는지, 1/60에서 1/120이 아닌
1/125로 바뀌는지...
이유는 간단합니다. 계산하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1/15로 계산하지 않고 1/16으로 했다면

1/16, 1/32, 1/64, 1/128, 1/256, 1/512, 1/1024, 1/2048, 1/4096 이렇게 되었을것이고 요즘처럼
메모리나 HDD를 쉽게 접하는 시절이라해도 이런 단계는 머리가 아플겁니다.
그리고 요즘의 디카는 셔속이 좀 다양합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더 세분화되어있죠.

그렇다면 이전 포스트에서도 거론되었던 1/125는 왜 강조하는가.
사진을 찍을때 핸드블러라해서 셔터스피드를 일정수준 유지하지 않으면 발생되는 흔들림인데요.
선명하지 않고 뭉개진채로 찍히게 됩니다. 그래서 기본이 되는 계산법이 있는데 바로 렌즈의 mm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렌즈의 mm수의 두배의 셔속(1/렌즈의 mm수의 두배)으로 찍어야 핸드블러가 어느정도
방지된다라는것입니다.

이 사진은 1/125, ISO 100, F7.1로 찍은것입니다. 실제 제가 사용한 렌즈는 100mm이고 크롭바디에서는
153mm가 되므로 1/320초로 찍어야 더 흔들리지 않고 선명한 사진이 찍혔겠지만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기 위해 1/125부터 속도를 줄여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의 4개 사진은 셔속과 조리개만 적정수준에 맞춰 조정한것이며,
보정없이 일부분만 1:1크기로 잘라낸것입니다. 바디의 손떨림방지 기능이 동작중이며
만약 그 기능마저 없었다면 더 많이 흔들렸을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1/125도 흔들렸습니다. 위 사진의 촬영조건은 모두 같으며 삼각대없이 서서 찍었고
삼각대가 준비된다면 흔들림은 아예 걱정이 없겠지요.

과거 필름카메라 시절에는 가장 많이 사용되던 기본렌즈가 50mm 단렌즈였습니다.
50mm의 두배는 100인데 위에 설명했듯이 1/60다음에는 1/125가 되서 기본적으로 처음 배울때
1/125를 지키라는 말이 나온겁니다.
물론 요즘에는 1/100초도 있고 카메라나 렌즈에 손떨림방지가 있어서 어느정도 방지가 된다고는 합니다만
셔속 1/125를 지켜서 찍는 연습을 하는것은 단순히 핸드블러만을 방지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주어진 환경속에서 셔속 1/125일때 ISO와 조리개의 수치는 일정수준의 데이타가 자연스레 나옵니다.
적정노출 혹은 관용도가 몸에 배게됩니다.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어떤 환경에서도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그리고 ISO를 자기 마음대로 떡주무르듯 할수가 있게됩니다.
말그대로 1/125에서 자유롭게 벗어나게 됩니다.

아무리 디지탈카메라가 성능이 좋아지고 발전했다하더라도 기본은 필름카메라 시절의 메카니즘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그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데이타를 연습해서 습득하면 디카는 더욱더 쉬워지고
훨씬 재미있는 사진생활이 되는것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lovepoem

사진으로 세상을 모두 담는것이 꿈인 저의 포토블로그가 "럽의 세상담기"이며 지금은 유튜브에서 영상으로 세상을 담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