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 스튜어디스.승무원 - 항공사 지상직 사용 용어
Airport Bus | 시내와 공항을 연결시켜주는 버스 |
Airport Tax | 각 국가별로 따로 징수하기도 하고 항공료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Arrival | 도착하는 곳. 초보자의 경우 이 글자만 따라가면 공항을 나갈수 있다 |
Baggage Check | 화물인수증. 비행기에 짐을 부치고 나면 주는 조그만 종이조각 |
Cancellation Charge | 취소할 때 내는 요금(그 외에 Penalty Charge도 있다) |
Confirm!!! | 예약을 확인하는 것. 재확인을 할 경우는 Reconfirm!!! |
Customs Clearnace | 공항을 통관할 때의 통관절차 |
Delay | 비행기나 열차가 늦어지는 경우 |
Economy Class | 보통석(1등석은 First Class, 이등석은 Business Class) |
스탠바이 (Stand By go show) |
항공 예약없이 공항에서 탑승 대기자로 등록하는 경우를 말하며 좌석 상황에 따라 좌석을 배정 받게 된다. 성수기, 명절 등 특별히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고는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
스톱오버(중간기착) | Stop-over 장거리 노선의 경우 비행기의 급유와 승무원 교대, 기체 점검 등으로 약 1시간 가량 중간기착지에 머무른다. (국내선-4시간 / 국제선-24시간이상) 보통 공항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 이내면 transit이고 그 이상이면STOP-OVER로 분류되며 stop-over의 경우 공항이 있는 도시에서 시내관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실제도착시간(Actual time of arrival(ATA)) | 실제 비행기가 도착하는 시간 |
실제출발시간(Actual time of departure(ATD)) |
실제 비행기가 출발하는 시간 |
예약 초과(Over Booking) | 항공사에서 예약 승객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고 효율적인 항공좌석의 판매를 위해 일정한 비율의 승객에 대해 실제 판매가능 좌석 수보다 초과하여 예약을 받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공항에서 먼저 탑승수속을 하야야만 안전하다 |
오픈티켓(Open Ticket) | 보통 돌아오는 날짜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고 예약한 항공권을 오픈티켓(Open ticket)이라고 한다. 6개월이나 1년 등 장기 해외 여행일 경우 돌아오는 정확한 날짜를 지정하기 힘들고 변경하기 힘들기 때문에 돌아오는 날짜를 임의로 지정하셔서 우선 예약하고 현지에서 동일한 항공권으로 오픈 기간에 한해서 승객이 변경 예약하여 탑승 할 수 있다 |
유실물 취급소 (Lost and Found) |
화물을 분실하였을 때신고 하고 찾는 곳 |
출국수속(Boarding) | 자신이 구매한 항공권을 예약한 항공회사의 체크인 카운터에서 항공권을 제시하고탑승권(Boarding pass)으로 바꾸는 절차를 말한다. 카운터에서 여권, 항공권과 여행 짐을 제시하면 해당 여행 항공권을 뜯어내고 탑승권과 남은 항공권, 도착지에서 짐을 수거할 수 있는 꼬리표를 받는다 |
경유지 (Intermediate point) | 항공기가 운송상이나 기술상의 목적으로 정기적으로 착륙하도록 지정된 중간지점. 경유지에서 승객에서은 자사나 타사의 접속편으로 옮겨 타거나 stopover를 할 수 있다 |
공항코드 (Airport Three Letter Code) |
현재 국가를 분류하는 코드로서 국제표준 규격인 ISO 3166-1(ISO 3166-1-Alpha-2 code elements)는 2자리 코드로 2003년 현재 239 국가가 공식적으로 등록되어 있다 |
국제표준시(greenwich mean time(GMT)) | 영국 그리닛치 천문대를 통하는 자오선에서의 평시를, 세계공통의 표준시각으로 한것. 항공기 운항이나 항공관제에서 통상적으로 GMT가 사용된다. Z(주르)로 표시된다 |
기내반입수하물 (휴대 수하물) |
가로, 세로, 높이 합이 115cm이내 되는 것으로 승객이 항공기내로 직접 운반하여 보통 좌석 밑이나 선반에 올려 놓을 수 있다 |
도심 터미널 (City Terminal) | 공항 외에 시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항 터미널 |
입국신고서 (EMBARKATION / DISEMBARKTION ICAO) |
표준절차에 의거하여 해외 여행자가 출입국시에 의무적으로 기입해서 제출해야 하는 양식이다. 국가에 따라서 신고서의 크기, 양식 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공항에서 탑승 수속시나 도착전 기내에서 받을 수 있다 |
코드쉐어(Codeshare) | 코드쉐어는 항공사간에 특정 구간의 좌석을 일정부분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각 항공사가 자사 항공기를 직접 투입하지 않고도 운항하는 것과 같은 운영을 할 수있다. 아시아나의 경우는 중국 남방항공, ANA 등 여러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다 |
현지시간(Local Time) | 항공여행의 도착지(국가, 도시 등)인 현지의 시간 |
화물기 (Cargo aircraft) | 승객 이송을 위한 여객기가 아닌 상품 또는 화물을 수송하는 항공기 |
환승(Transfer) | 도착지 이전에 중간 기착지에서 다른 비행기로 갈아타는 것을 의미하며 갈아탈 수 있는 표는 Transfer ticket이라 한다. 이때 갈아타면서 기내에 두고온 물건이 없도록 주의하며 수하물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짐꼬리표(Baggage Tag)를 확인해야 한다 |
Upgrade | 예약한 클래스보다 높은 클래스를 타는 것 |
Securiety Check | 비행기를 타기 전에 하는 안전검사 |
Flight Number | 비행기의 번호 |
Gate Number | 탑승구의 번호
|
반응형
'승무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생일을 맞은 서혜원선생 (3) | 2009.02.27 |
---|---|
항공사 지상직으로 진출하는 여러가지 방법 (0) | 2009.02.27 |
카타르항공 객실승무원 영어인터뷰 기출문제 (0) | 2009.02.27 |
영어인터뷰를 위한 청취력 향상법 (0) | 2009.02.27 |
스튜어디스 지상직 신입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0) | 2009.02.26 |